▶학습 내용
1. 반 아이들 앞에서 반복되는 자해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
2. 자실시도, 자해, 자해 모방의 사례들
3. 특정 질환별 자해 행동의 이해
4. 벌칙 모면을 위해 자해하는 사례
5. 시도자의 지속적인 사례 관리
▶학습목표
1. 개별 사례를 통해 자해 관련 문제들을 이해하고 향후 실제생활에서 활용한다.
1. 반 아이들 앞에서 반복되는 자해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에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 반 친구 앞에서 반복적으로 자해를 한 사례
- 화장실에서 자해를 한 후 상처나 피를 공개적으로 보여준 사례
- SNS등에 불만을 토로하고 자해하겠다고 공언한 후 팔에 붕대를 감고 등교한 사례
- 너무 힘들어서 자해하고 싶다며 밤 늦게 친구나 교사에게 문자를 보낸 사례
결론: 학교내에서의 규칙이 있어야 하며, 선생님/상담자가 학생에게 너무 끌려 다니지 않도록 원칙을 세운 후, 학생들에게 정확한 규칙을 알려주어야 한다. 그리고 반 앞에서 자해를 하는 아이에게 노출 된 친구들도 상담을 해야한다.
2. 자살시도, 자해, 자해 모방의 사례들은?
- 자살시도, 비자살성 자해, 자해 모방등 각각의 사례와 구분이 어려운 사례
- 자살을 언급하며 자해한 사례
- 애도 후 자살 사고와 자해 행동을 보인 사례
결론: 각각의 청소년 마다 겪고 있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자살시도, 자해, 자해 모방의 행동들을 구분하여 대처해야 한다.
3. 특정 질환별 자해 행동을 이해하자면?
- 특정 질환별 자해 행동의 차이 이해
- 지적장애 사례
- 자폐범주성장애 사례
- 불안장애 사례
- 조현병 사례
결론: 일반학생인 줄 알았던 청소년이 자해를 해서 병원에서 지적장애 학생으로 판명난 경우, 또한 아스퍼거증후군(공감능력 떨어짐)으로 자해하는 경우, 조현병(누군가 명령을하고, 감시하고)등의 질환을 가지고 있을 때 자해하는 행동을 고려해야 한다.
4. 벌칙을 회피하기 위해서 자해를 하는 경우?
- 교칙을 위반하여 주어지는 벌칙을 거부하며 자해하는 사례
- 아이를 위한 벌칙을 고민하고 적용한 사례
결론: 벌칙을 회피하기 위해서 자해를 하는 청소년이 있을 경우, 원칙을 정한 뒤 허용범위내에서 행동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벌칙이라는 것은 아이에게 형벌이 되어서는 안되며, 도움이 되는 방법을 주어야 한다.
5. 지도자의 지속적인 사례관리
- 상담 중 자해 행동을 보여 쫒겨나는 사례
- 자해 행동을 보였던 아이가 상급 학교로 진학하거나 전학하는 사례
결론: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등 연계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자해 청소년들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누구나 써 - 글 > writing & life - 글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적용 방안 안내 (0) | 2021.11.04 |
---|---|
자살예방교육 프로그램(초등학생) 지도자 양성교육 - 사례중심의 청소년 자해 개입방안 4강-자해 청소년 삼담자의 자세 (0) | 2021.10.21 |
자살예방교육 프로그램(초등학생) 지도자 양성교육 - 사례중심의 청소년 자해 개입방안 3강-자해 청소년 상담시 유의할 점 (0) | 2021.10.20 |
자살예방교육 프로그램(초등학생) 지도자 양성교육 - 사례중심의 청소년 자해 개입방안 2강-자해 청소년의 초기 평가 (0) | 2021.10.20 |
자살예방교육 프로그램(초등학생) 지도자 양성교육 - 사례중심의 청소년 자해 개입방안 1강-죽음,자살 그리고 자해 이해하기 (0) | 2021.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