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수업을 하다 보면 같은 철자인데 /t/, 환경의 차이로 각각 발음이 다르게 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1. teacher - 티쳘
2. stop - 스땁
3. water - 워럴
4. waht - 왙
5. button - 벋은
발음이 다르다고 해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며, 깊이 있게 /t/가 어떤 다른 발음이 나는지 확인해 보자.
1. teacher - 티쳘 - aspirated(기식) -숨쉬듯 자연스럽게 나는 소리
2. stop - 스땁 - unaspirated(불기식)-거칠게 나는 소리
3. water - 워럴 - flapped(설탄)-혀가 윗잇몸을 탁 치면서 나는 소리
4. waht - 왙 - unreleased(불파)-소리가 끝까지 이어지지 않고 딱 잘라 끝나는 소리
5. button - 벋은 glottal stop(성문패쇄)- 성대가 닫치면서 나는 소리
/ t/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k/, /p/도 각각 발음이 다르게 난다.
1. pie - 파이 - aspirated(기식)
2. spy - 스빠이 - unaspirated(불기식)
3. cap - 캪 - unreleased(불파)
1, kite - 카이트 - aspirated(기식)
2. sky - 스까이 - unaspirated(불기식)
3. sick - 앀 - unreleased(불파)
문) 한국어로 가다와 나가다를 외국인들은 어떻게 느끼는가?
언어학 적으로 한국어 음소/ㄱ/ 은 가다/ka/, 나가다/ga/로 2가지의 이음을 외국인들은 느낄 수 있다.
* 음소란?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는 최소의 단위(the smallest phonetic unit in a language that is capable of conveying a distinction in meaning)
pin, tin, din 의 의미가 서로 다은 것은 /p/, / t/, /d/에서 다른 음소로 식별하기 때문이다.
* 음소와 이음의 관계는 상호보완적이며, 겹치지 않는다.
문) 최소대립쌍(minimal pair)
- cold, gold 영어에서는 초성이 별개의 음소인데 반하여
가다, 나가다 한국어에서는 동일 음소의 이음이라고 본다면
이를 분포(distribution)의 관점에서 설명해보자?
cold와 gold는 음절 첫머리라는 동일한 환경에서 나타는 별개의 음소이고
가다, 나가다는 어두와 어중이라는 겹치지 않는 환경, 즉 상보적 분포의 관계에 있으므로 두 음은 동일 음소의 이음이다.
* 이음은 의미의 차이를 가지고 오지 않는다. 예를 들어 stop(스땊)이라고 발음해야 하는 것을 stop(스타프)로 발음해도 발음이 이상하다고 느낄 뿐, 받아들이는 사람은 stop이 발음 때문에 의미의 차이가 있다고 느끼지 않는다.
* 음성적 유사성이 없을때는 서로 다른 음소로 본다.
문) 음소와 이음에 대한 지식이 영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논하시오.
영어수업을 하다보면 학생들이 같은 철자인데도 발음이 다르게 나는 것을 인식하고 무엇때문에 그런 것인지 묻고는 하는데, 음소와 이음의 관계를 모르고서는 그냥 그렇게 발음이 나는 것이라고 말하고 넘어갈 뿐, 더 이상의 구체적인 이야기는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한국어는 가다, 나가다, 다가 가다 ㄱ의 소리는 모두 동일 음소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 음소(phoheme)는
분절음(segment) - consonant(자음)+vowel(모음)과
초분절음(suprasegment) -stree(강세)+pitch(음절 높낮이)+length(길이)로 나눔.
문) 한국어에서 '밤(night)' - '밤(chestnut)' 음장(length-음의 길이)를 음소로 보는 경우가 있었지만
영어에서는 음장이 음소가 될 수 있는지 논의해 보자.
영어) bead(비이ㄷ) - beat(비ㅌ) , bed(베에ㄷ)-bet(베ㅌ), rib(뤼이ㅂ)-rip(륖)
모음뒤에 유성자음이 오면 자음을 길게 발음
환경(유성자음이 뒤에옴)에 의해 자동 결정된 것이다. 음장은 음소가 아님.
영어) bee(비이)-beat(비ㅌ), dew( 듀우)- duke(듀ㅋ), key(키이)-keep(키잎)
개방음절(open syllable)의 모음이 폐쇄음절(closed syllable)의 모음보다 길게 발음난다. but 음장은 음소가 아님.